Ⅰ. 서 론
최근 국내 기술을 이용한 레이다의 첨단화, 지능화, 전동화에 따라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한 MIMO 레이다 개발을 필요로 한다. MIMO 레이다의 경우, 궤도 상에 가상 안테나를 여러 개를 배열한 것이기 때문에 Ka-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고집적 배열이 가능하다. 또한 저가로 고집적화가 가능한 CMOS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레이다뿐만 아니라, 민수용 산업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Ka-대역 레이다 연구를 위하여 35-GHz 레이다 송신단용 전력증폭기를 40-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측정한 결과를 제시한다.
Ⅱ. Ka-대역 전력증폭기 회로도
그림 1은 Ka-대역 전력증폭기의 회로도이다. 전력증폭기의 경우 최대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주 전력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증폭기로 구성된다. 주 전력증폭기와 구동증폭기 모두 40 nm의 게이트 길이를 갖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입력단의 경우, 입력된 단일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증폭기로 인가하기 위하여 단일-차동 발룬을 이용한다. 구동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의 경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트랜스포머를 이용한다. 출력단의 경우, 주 전력증폭기가 최대 전력을 출력하기 위하여 최대 전력 정합이 된 차동-단일 발룬을 이용한다.
Ⅲ. Ka-대역 전력증폭기 설계
주 전력증폭기의 경우, 최대 출력 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은 드레인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캐스코드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breakdown에 의해 0.9 V의 낮은 표준 전압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1.8 V의 드레인 전압을 사용한다. 공통 소스 증폭기와 공통 게이트 증폭기 모두 384 μm(3 μm×32 finger×4 multi) 너비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며, 게이트의 저항 성분을 줄이기 위하여 4개의 멀티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게이트-드레인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한 피드백 문제의 경우, 92 fF의 MOM 커패시터를 이용한 cross-coupled 중화 기법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구동증폭기는 주 전력증폭기의 입력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득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구동증폭기는 공통소스 증폭기 구조를 사용하며, 192 μm(3 μm×32 finger×2 multi) 너비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구동증폭기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43 fF의 MOM 커패시터를 cross-coupled 중화 기법에 사용한다.
그림 2는 구동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의 레이아웃이다. 그림 2의 M1-M6 트랜지스터와 C1-C4 커패시터는 그림 1 회로도와 같다.
임피던스 정합은 구동증폭기의 입력, 구동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 그리고 주 전력증폭기의 출력에서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입력단의 경우 단일-차동 발룬을 이용하여 차동 구조로 변환한다. 구동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 정합에 사용된 트랜스포머는 중간탭을 사용하여 구동증폭기의 드레인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출력단의 경우, 단일 출력인 GSG패드로 출력하기 위해 차동-단일 발룬을 이용하며, 중간 탭을 이용하여 주 전력증폭기의 드레인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또한 전력증폭기의 최대 전력 출력을 위하여 최대 전력 출력 임피던스인 15.5+j12.2 에 정합을 한다.
표 1은 임피던스 정합에 사용된 각 트랜스포머의 특성을 나타내며, 그림 3은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이다.
Ref. | L1 | L2 | k | Q1 | Q2 |
---|---|---|---|---|---|
PAD to DA | 290 pH | 321 pH | 0.67 | 10.4 | 11.7 |
DA to PA | 72 pH | 77 pH | 0.47 | 11.6 | 11.5 |
PA to PAD | 169 pH | 218 pH | 0.72 | 13.1 | 7.8 |
Ⅳ. Ka-대역 전력증폭기 측정 결과
그림 4는 40-nm CMOS를 통해 제작된 2단 전력증폭기의 칩 사진이다. 2단 전력증폭기의 전체 면적의 경우, DC 및 입출력 패드를 포함하여 711 μm×504 μm이다. 제안된 2단 전력증폭기의 경우, 온 칩 프로빙을 통하여 측정한다. 구동증폭기와 주 전력증폭기 모두 class-AB의 게이트 바이어스에서 설계 및 측정하였으며, 구동증폭기는 0.9 V, 주 전력증폭기는 1.8 V의 드레인 바이어스를 사용한다. 그림 5는 Anritsu사의 MS4647A VNA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력증폭기의 S-parameter이다.
출력 신호는 Agilent사의 N9030A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이때 입력 신호는 Keysight사의 N5173B를 사용하여 인가한다. 최대 출력 전력은 34 GHz에서 351 mW를 소모하여 16.9 dBm을 출력한다. 출력 전력의 1 dB 대역폭의 경우, 최대 출력 전력을 기준으로 28.1~39.8 GHz에서 34.4 %의 대역폭을 형성한다. 그림 6은 설계된 전력증폭기의 주파수 대비 포화 출력 전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며, 그림 7은 33 GHz에서 설계된 전력증폭기의 입력 전력 대비 출력 전력 및 PAE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2는 설계한 전력증폭기와 참조된 전력증폭기의 성능을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Ref. | CMOS technology | Amplifier topology | Supply [V] | Gain [dB] | Freq. [GHz] | S21 BW3dB [GHz] | Psat [dBm] |
---|---|---|---|---|---|---|---|
[4] | 28 nm CMOS | 1stage 2stack | 2.2 | 13.6 | 28 | - | 19.8 |
[5] | 28 nm CMOS | 2stage CS | 0.9 | 20.8 | 43 | 29~57 | 16.6 |
[6] | 65 nm CMOS | 1stage 3stack | 3.6 | 17.5 | 38 | - | 24.8 |
[7] | 28 nm CMOS | 2stage 2stack | 0.9/1.8 | 25.8 | 38.5 | - | 16.8 |
[8] | 45 nm SOI | 2stage 2stack | 1/2 | 20.5 | - | 25.8~43.4 | 20.4 |
[9] | 28 nm CMOS | 2stage 2stack | 0.9/1.8 | 20.5 | - | 19.7~43.8 | 20.3 |
This work | 40 nm CMOS | 2stage 2stack | 0.9/1.8 | 27.8 | 34.6 | 30.2~38.5 | 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