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최근 무선신호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서비스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일상생활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파 간섭으로 인한 통신성능 저하, 통신 정보보안 문제, 전자파 노출 등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밀집된 실내 환경에서는 전자파 간섭에 따른 통신성능 저하문제가 더욱 심각해져, 실내 환경에서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파수 선택 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 구조를 건물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 FSS 구조는 단위구조의 형태, 크기 등의 변화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거나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 전자기파 공간 필터로서[3] 레이돔(radome)[4], CA 전파흡수체(Circuit Analog EM absorber)[5], 전자파 간섭 차폐(EMI shielding)[6] 등에 응용되고 있다.
한편 FSS 구조를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FSS 구조의 특성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단일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는 특성을 갖는 FSS 구조는 건물 벽에 적용하여 원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증가시켜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거나[7], 적외선 차단으로 건물을 보온성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저감 유리(energy-saving glass)에 FSS 구조를 적용하여 GSM 통신 시스템, GPS, 3G 등의 수신 신호 성능 개선에 응용되고 있다[8]. 반대로 외부 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FSS 구조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인접 채널 간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여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응용 연구도 있다[9]. 최근에는 다양한 주파수에 대하여 동시 제공하는 무선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FSS 구조나[10]~[12], 실내 무선 서비스 영역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재구성 FSS 구조를 실내 공간 벽면에 적용하여 실내 환경의 신호 강도나 신호 대 간섭 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확인하는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13],[14], 실제 실내 환경에 적용하여 신호성능을 측정 및 검증한 연구 사례는 미비하며[7],[9], 특히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건물 내벽에 적용을 고려하여 얇은 두께를 가진 필름에 대면적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이중 대역 차단 특성을 갖는 FSS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실내 환경에 FSS를 적용하여 외부 신호에 대한 감쇠 성능을 시뮬레이션 및 측정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Ⅱ. 이중 대역 FSS 구조 설계
건물 내의 전파환경은 복잡한 구조물과 벽 구조로 인하여 반사 또는 회절, 굴절 등의 다양한 전파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건물 내벽에 FSS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 안정성을 갖는 구조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일 평면 위에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에 대한 안정적인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갖는 소형화된 이중 대역 FSS 구조[15]를 기반, 대면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인쇄전자 기술은 인쇄 회로 기판(PCB) 형태로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낮은 온도에서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이나 필름, 섬유 위에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낮은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6],[17]. 제작 방식에 따라 잉크젯 인쇄(inkjet printing) 방식,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식,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0.1 mm의 얇은 두께와 유연성을 갖는 투명 필름 위에 2.4 GHz, 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FSS 구조를 설계하였다.
FSS 구조의 단위 구조는 그림 1과 같이 사각 루프 구조를 응용한 소형화된 구조로 복잡한 형상(convoluted element)을 이용하여 다중 대역 특성을 구현하는 설계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단순한 설계 변수 조정을 통해 이중 대역 FSS의 공진 주파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15], 이 구조를 벽면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름 위에 크기 21.8×21.8 mm(0.17λ)를 갖는 단위 구조를 설계하였다. 유전 기판은 유전율 3.5, 손실 0.003인 투명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FSS 패턴은 고전도성 은 나노 잉크로 0.02 Ω/sq의 표면저항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설계한 FSS 구조에 대하여 상용 전자기 소프트웨어인 HFSS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TE 모드에서 공진주파수는 2.46 GHz와 4.99 GHz로 입사각 0°~60° 변화에 따라 1.6 %(20 MHz), 0.2 %(10 MHz)의 오차를 가지며, TM 모드에서는 최대 오차 1.2 % (30 MHz)로 편파 및 입사각에 따라 매우 안정적인 성능을 가지는 것을 그림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설계한 이중 대역 차단 특성을 갖는 FSS 구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크기 300×400 mm인 필름형 FSS 구조를 제작하였다. 유전 기판은 두께 0.1 mm인 투명한 PET 필름을 사용하였고, 전도성 패턴은 FSS 구조의 높은 감쇠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전도성은 나노 잉크를 사용하여 온도 130°C에서 30분간 경화하여 낮은 표면 저항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제작된 FSS 구조는 그림 3(a)에 나타내었으며, 자유공간 측정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이중대역 FSS 구조의 투과 특성 측정 결과를 그림 3(b)에 나타내었다. 수직으로 입사할 경우(normal incidence) 공진주파수 2.55 GHz와 4.83 GHz에서, 대역폭은 각각 26.3 %(670 MHz) 16.8 %(810 GHz)이며, TE, TM 모드에서 입사각이 45°일 경우에는 공진주파수의 변화가 2.4 % 오차로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 이중 대역 FSS 구조 적용한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강도 분석
설계한 FSS 구조를 건물에 적용했을 경우, 외부 신호에 대한 감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잡한 실내․외 전파환경에서의 통신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상용 전파해석 소프트웨어인 wireless insite를 사용하여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였다. 실내 공간의 모델링 구조는 그림 4와 같이 크기 7.75×6.75×3.00 m인 실험실(room)과 크기 7.75×2.60×3.00 m인 복도로 구성된 구조이며, 실험실 내벽에는 앞에서 설계한 이중 대역 FSS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표 1은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바닥과 벽, 유리 등과 같은 구조물의 건축 자재의 물성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FSS와 FSS가 적용된 실내 벽은 측정 환경과 비슷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실제 측정한 실내 벽과 FSS의 투과특성(S21), 반사특성(S11) 결과를 적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물을 모델링하였다. 이와 같이 실내 공간 모델링 및 구조물의 물성을 설정을 한 후 그림 4와 같이 송신/수신 안테나를 실내 벽면과 1 m 떨어진 위치에 각각 설치하고, 주파수 1~6 GHz 변화에 따른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송신/수신 안테나의 자세한 사양은 표 2와 같다.
Floor | Outdoor wall | Indoor wall | Window | Dual-band FSS | |
---|---|---|---|---|---|
Material | Concrete | Concrete | Concrete | Glass | FSS |
Thickness(cm) | 50 | 30 | 23 | 0.3 | 0.01 |
Permittivity | 10 | 7 | S11/S21 | 2.4 | S11/S12 |
Conductivity | 0.015 | 0.015 | 0 |
Waveform | Type | Sinusoid |
---|---|---|
Frequency(GHz) | 1~6 | |
Antenna | Type | Directional |
Height(m) | 1.3 | |
Distance(m) | 1 | |
Power(dBm) | 0(at Tx) | |
Gain(dBi) | 5.0(at Tx), 19.0(at Rx) | |
VSWR | 2.5(at Tx), 2.0(at Rx) |
시뮬레이션 방법은 먼저 기준값을 확인하기 위해 FSS 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공간일 때의 수신 신호 강도를 시뮬레이션하여 기준값을 결정하고, 벽면에 FSS 구조를 적용한 공간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외부 신호에 대한 수신감쇠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림 5는 수신 신호 강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FSS 구조를 건물에 적용할 경우 2.55 GHz와 4.83 GHz에서 각각 −62.8 dBm, −68.65 dBm으로 외부 신호에 대하여 38.8 dB, 36.5 dB의 감쇠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건물 내벽에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한 이중 대역 FSS 필름 구조를 적용,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내 공간은 그림 4에서 모델링한 실내 공간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실험실과 복도이며, 실험실 내벽에는 1.2×0.9 m 크기를 갖는 필름형 이중 대역 FSS 구조를 적용하였다.
그림 6과 같이 복도에는 신호 발생기가 연결된 송신 안테나를, 실험실에는 스펙트럼 분석기가 연결된 수신 안테나를 설치하여 실험실 내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송·수신 안테나는 로그-주기 다이폴 배열(Log-Periodic Dipole Array: LPDA) 안테나로, 14 dB 이득을 갖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 LNA)를 가진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외부 신호에 대한 실내 공간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림 7에 FSS가 없는 공간 대비 FSS를 적용한 공간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대역폭이 약간 좁아지지만, 2.4 GHz 대역에서는 −29.4 dB로 높은 감쇠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5 GHz 대역에서는 매우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벽에 의한 손실이 높아짐에 따라 생긴 오차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제로 건물 내의 무선 통신환경을 개선을 위해서는 FSS 구조를 벽면 일부가 아닌 전체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FSS 구조의 적용 유무에 따른 실내 환경의 통신 성능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내 구조는 그림 6에 나타낸 건축 도면의 축소 모델로 그림 8과 같이 다른 크기를 갖는 9개의 실험실과 복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도와 실험실 2(room 2), 실험실 5(room 5), 실험실 8(room 8)에 각각 2.4 GHz/5 GHz인 AP(Access Point)를 위치시켰다. AP의 송신 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이며, 안테나 높이는 1.3 m, 송신안테나의 이득은 5 dBi, 송신 출력 파워는 0 dBm로 설정하였다.
실험실 2와 실험실 6은 2.4 GHz, 5 GHz를 차단하는 이중 대역 FSS 구조가 적용된 공간으로, 다수의 무선 신호가 있는 건물 내 통신 성능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동일 채널의 수신 신호전력 대 간섭신호전력 비를 나타내는 C/I(Carrier-to-Interference-ratio)를 확인하였다. 먼저 복도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 안테나 Tx1에 대한 건물 내의 C/I를 확인한 결과, 그림 9와 같이 FSS 구조를 적용한 실험실 2 내부의 C/I 값은 2.4 GHz일 때 평균 −38.96 dB, 5 GHz일 때에는 평균 −36.34 dB로, 일반 공간일 때보다 각각 25.31 dB, 22.27 dB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실 6의 내부 C/I 값 역시 주파수 2.4 GHz, 5 GHz에 대하여 각각 평균 −54.12 dB, −51.19 dB로, FSS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Tx1의 수신 신호 강도가 많이 감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0은 실험실 8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 안테나 Tx3에 대한 건물 내부의 C/I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FSS 구조가 적용된 실험실 2는 Tx3의 신호의 강도를 감쇠하여 주파수 2.4 GHz, 5 GHz에서 각각 −31.05 dB, −36.34 dB의 C/I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험실 6은 실내 벽면에 FSS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만 C/I가 2.4 GHz에서 17.98 dB, 5 GHz에서 12.58 dB로 매우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ㄱ자 형태를 가진 건물 구조일 경우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를 통하여 신호들이 강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발생된 형상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으로 주파수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 벽뿐만 아니라 실외 벽, 창문, 문 등에 대한 FSS 구조 적용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저비용으로 대량생산 및 대면적 제작이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랜 대역인 2.4 GHz, 5 GHz에서 동작하는 이중대역 FSS 필름을 설계하였으며, 건물 벽에 적용하여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 강도를 분석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벽에 적용이 가능한 얇은 두께를 가진 투명 필름 위에 설계하였으며, 측정을 통해 입사파의 편파 및 입사각에 따라 안정적인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건물의 실험실 내벽에 제작한 FSS 구조를 적용하여 실내 공간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결과, 외부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2.45 GHz에서 최대 29.4 dB, 5 GHz에서는 15.94 dB 정도의 감쇠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복잡한 실내 전파환경에서 무선 주파수 혼신 및 간섭을 줄이고 주파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건축물의 종류에 따른 전파특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