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REGULAR PAPERS

차량 부품의 장착 위치를 고려한 부품 내성 시험 방법

김동균*,**https://orcid.org/0000-0001-9700-8858, 조춘식**,https://orcid.org/0000-0002-7095-4614
Dong-Kyun Kim*,**https://orcid.org/0000-0001-9700-8858, Yong Bae Park**,https://orcid.org/0000-0002-7095-4614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한국자동차연구원
**아주대학교 IT융합대학원
*KATECH
**Graduate School of IT Convergence, Ajo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ong Bae Park (e-mail: yong@ajou.ac.kr)

© Copyright 2019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28, 2019; Revised: Dec 31, 2019; Accepted: Feb 25, 2020

Published Online: Feb 29, 2020

요약

차량용 부품의 방사 내성 평가 규격 ISO 11452-2 (2004)와 실차의 방사 내성 평가 규격 ISO 11451-2 (2015)에서는 시험 설치 조건과 기준이 달라서 같은 부품이어도 서로 다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차의 방사 내성 평가는 만족을 하더라도 부품의 방사 내성 평가는 불만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의 모의 바디를 금속판이라 가정하여 금속판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부품 내성 시험과 실차 내성 시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실차 내성 시험 환경과 유사한 부품 내성 시험 조건을 제안한다.

Abstract

Test set-up conditions and reference levels are different in the component radiation immunity standard ISO 11452-2 (2004) and vehicle radiation immunity standard ISO 11451-2 (2015); hence, different results may be obtained for the same components. Therefore, even if the evaluation of the radiation immunity of the vehicle is satisfactory, the evaluation of the radiation immunity of the vehicle component may be unsatisfactory.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chassis of the automobile is a metal plat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 immunity test and vehicle immunity test fo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etal plate is investigated.

Keywords: EMC; Vehicle Component; Radiated Immunity; ISO 11451-2(2015); ISO 11452-2(2004)

Ⅰ. 서 론

오늘날 현대사회의 자동차부품은 다양한 종류가 생겨났고, 자율주행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부품의 비중이 더 증가하고 있다. 그림 1과 같이 많은 부품이 자동차에 적용되고, 부품의 발전에 따라 보다 엄격한 인증시험을 필요로 하며, 인증시험 중 하나인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인증을 만족해야 한다.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은 두 가지 분류인데, 전자파 장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전자파 내성(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로 나뉜다.

jkiees-31-2-113-g1
그림 1. | Fig. 1. 자동차 부품 구성도 | Vehicle component schematic.
Download Original Figure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EMC 시험 기술은 현재까지 꾸준히 개정되어 분석되어 왔다[1],[2]. 하지만 자동차 시험과 부품 시험은 주파수, 레벨, 시험 설치 방법 등 여러 가지 많은 차이가 있어 시험 규격에 대한 제·개정 연구도 같 이 이뤄지고 있다[3],[4]. 기존 연구에서 방사 내성 시험(radiated immunity: RI)은 부품 시험과 실차 시험으로 나누어지며, 부품 시험은 전원과 통신을 연결하여 동작시켜서 시험하며, 실차 시험은 부품을 자동차에 장착하여 동작시켜 시험한다. 부품의 장착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시험을 진행하면 부품 시험에서는 규격 만족하여 통과가 되었지만, 실차 시험에서는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부품이 장착되는 위치 주변으로 자동차 바디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바디와 부품의 거리 및 위치에 따라 방사되는 전계 증폭 수준이 달라진다. 기존에는 자동차 부품의 장착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시험이 진행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부품의 장착위치별로 모의 바디를 구성하여 장착되는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취약한 주파수와 증폭 수준을 분석하였다.

Ⅱ. 측정(Measurement) 기반 시험 방법

부품 시험 규격의 종류 중 방사 내성 시험에 기준이 되는 국제 표준 규격으로는 ISO 11452-2(2004)이고, 실차 방사 내성 시험으로는 ISO 11451-2(2015), ECE R 10 Revision 5, KN41(2016-12)이다[5][8]. 부품 시험 규격과 실차 시험 규격은 시험 레벨 및 조건이 달라서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온다. 부품 방사 내성 시험에서는 부품을 Ground Table에 올려놓고 부품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길이를 1.5 m로 맞추고, 전원선의 중간 지점과 부품의 전면에서 1 m 거리에서 안테나를 위치시켜 방사하여 시험을 하며, 시험 주파수는 80 MHz~3 GHz이다. 그림 2에 부품 시험에 대한 구성 사진이 나와 있다.

jkiees-31-2-113-g2
그림 2. | Fig. 2. 부품 시험 안테나 설치 | Component test antenna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2에 사용되는 장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차 방사 내성 시험은 그림 3과 같이 차의 전면부에서 2 m 이상 거리에서 안테나를 위치시켜 방사하여 시험을 하고, 시험 주파수는 20 MHz~2 GHz이다.

jkiees-31-2-113-g3
그림 3. | Fig. 3. 실차 시험 안테나 설치 | Vehicle test antenna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표 1. | Table 1. 부품 시험 장비 구성 | Component test equipment list.
No Equipment No Equipment
1 DUT 8 Test antenna
2 Test harness 9 Stimulation and monitoring system
3 Load simulator 10 High quality double-shielded coaxial cable(50 Ω)
4 Power supply 11 Bulkhead connector
5 Artificial network(AN) 12 RF signal generator and amplifier
6 Ground plane 13 RF absorber material
7 Low relative permittivity support(εr≤1, 4) 14 Ground straps
Download Excel Table

그림 3에 사용되는 장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 Table 2. 실차 시험 장비 구성 | Vehicle test equipment list.
No Equipment No Equipment
1 Absorber-lined shielded enclosure 5 Power meter
2 RF signal generator 6 Coaxial feed through
3 Power amplifier 7 Field generating device
4 Dual directional coupler 8 Vehicle reference point
Download Excel Table

시험은 ISO 11452-2(2015)에서 사용하는 Ground Table, Chamber, Field Probe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측정 주파수는 실차 내성 평가 규격 ISO 11451-2(2004)에서 요구하 는 20 MHz~2 GHz로 시험하였다[5],[6].

그림 46은 주파수별로 사용된 안테나이다. 차량 바디는 금속판으로 대체하였다. 금속판이 없는 경우 Field Probe를 사용하여 전계 레벨을 측정하였다. Field Probe의 제조 업체는 Amplifier Research이며, 모델은 FL7006이다.

jkiees-31-2-113-g4
그림 4. | Fig. 4. 바이커니컬 안테나(20~100 MHz) | Biconical antenna(20~100 MHz).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5
그림 5. | Fig. 5. 브이 대수 주기 안테나(100 MHz~1 GHz) | V-LOG antenna(100 MHz~1 GHz).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6
그림 6. | Fig. 6. 혼 안테나(1~2 GHz) | Horn antenna(1~2 GHz).
Download Original Figure

시험은 그림 7과 같이 Field Probe를 Insulation block(높이 50 mm) 위에 배치하여 주파수별로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계를 인가하여 전계 레벨을 확인하였다. 진행시 전계 레벨은 10 V/m로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그림 8이다.

jkiees-31-2-113-g7
그림 7. | Fig. 7. 전계 측정기 설치 | Field probe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8
그림 8. | Fig. 8. 금속판 없는 경우 측정 결과 | Measurement results when is no metal plate.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45의 시험 안테나와 그림 7의 Field Probe를 1 m 거리로 배치하였고, Field Probe를 그림 7에 표시한 것과 같이 5 cm, 10 cm, 15 cm, 20 cm 거리별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그림 8에 나타내었다.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1 V/m, 거리가 10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8 V/m,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6 V/m, 거리가 20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5 V/m로 측정되었으며, Field Probe가 안테나와 가까이 있을수록 전계 레벨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속판 1면은 그림 9와 같이 배치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그림 10이다.

jkiees-31-2-113-g9
그림 9. | Fig. 9. 금속판 1면 설치 | Metal plate 1 face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0
그림 10. | Fig. 10. 금속판 1면 측정 결과 | Metal plate 1 face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10 결과에서 주파수 5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0 cm, 15 cm, 20 cm일 때 전계 레벨이 23 V/m 이상이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3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5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8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8배 정도 증가되었다. Field Probe와 금속판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계레벨이 높게 증가되며,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경우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판 2면은 그림 11과 같이 배치하였으며, 결과는 그림 11이다.

jkiees-31-2-113-g11
그림 11. | Fig. 11. 금속판 2면 설치 | Metal plate 2 face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12에서 주파수 3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6 V/m가 측정되었으며, 교정 전 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6배로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6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3.5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35배 정도 증가되었다. Field Probe와 금속판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계 레벨이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판 3면은 Field Probe 앞쪽에 금속판이 있을 때, 뒤쪽에 있을 때 두 가지 경우를 들어 전면, 후면 2가지 배치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전면에 대한 배치는 그림 13이며, 결과는 그림 14이다.

jkiees-31-2-113-g12
그림 12. | Fig. 12. 금속판 2면 결과 | Metal plate 2 face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3
그림 13. | Fig. 13. 금속판 3면(전면) 설치 | Metal plate 3 face(front)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4
그림 14. | Fig. 14. 금속판 3면(전면) 결과 | Metal plate 3 face(front)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14 그래프에서는 주파수 300~5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26 V/m가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6배로 증가되었다. 주파수 1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20 cm일 경우에는 전계 레벨이 22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2 배 증가되었다. 주파수 1 GHz를 기준으로 1 GHz 미만이면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1 GHz 이상이면 Field Probe 거리가 20 cm일 때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판 3면에서 후면에 대한 배치는 그림 15이며, 결과는 그림 16이다.

jkiees-31-2-113-g15
그림 15. | Fig. 15. 금속판 3면(후면) 설치 | Metal plate 3 face(rear)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6
그림 16. | Fig. 16. 금속판 3면(후면) 결과 | Metal plate 3 face(rear)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16 그래프에서는 주파수 3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7 V/m가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7배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1.7 GHz에서는 전계 레벨이 21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1배 증가되었다. Field Probe와 안테나 사이에 금속판이 없기 때문에 안테나에 가까워질수록 전계 레벨이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에서 진행한 시험은 금속판의 높이 200 mm로 진행하였다. 높이에 따라 전계 레벨이 변화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다음 시험에서는 금속판의 높이별로 증폭하는 전계 레벨을 분석하였다. 앞에서 진행한 금속판 위치별 결과에서 금속판과 Field Probe의 거리가 15 cm일 때 금속판이 3면일 경우 전계 레벨이 가장 크게 증폭하는 결과가 나왔다. 높이별 시험에서는 Field Probe와 금속판의 거리를 15 cm 고정하여 진행하였다. 금속판의 높이는 50 mm, 100 mm, 200 mm, 300 mm로 진행하였으며, 배치도는 그림 1720이며, 결과는 그림 21이다.

jkiees-31-2-113-g17
그림 17. | Fig. 17. 금속판 높이 50 mm 설치 | Metal plate height 50 mm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8
그림 18. | Fig. 18. 금속판 높이 100 mm 설치 | Metal plate height 100 mm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19
그림 19. | Fig. 19. 금속판 높이 200 mm 설치 | Metal plate height 200 mm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0
그림 20. | Fig. 20. 금속판 높이 300 mm 설치 | Metal plate height 300 mm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1
그림 21. | Fig. 21. 금속판 높이 결과 | Metal plate height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21에서 주파수 200~600 MHz에서 금속판 높이가 100 mm일 때 전계 레벨이 30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3배 증가되었다. 금속판 높이가 100 mm에서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금 속판 높이가 200 mm, 50 mm, 300 mm 순으로 전계레벨이 높게 측정되었다. 금속판 높이별로 전계 레벨이 증가되는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에서 진행한 시험들은 금속판 두께를 2 mm로 진행하였다. 금속판의 두께도 전계가 증가되는 것에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금속판 높이를 100 mm로 고정하여 두께 별로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는 그림 22이다.

그림 22의 결과에서 주파수 200~500 MHz에서 두께 1 mm, 2 mm는 전계 레벨이 30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3배 증가되었으며, 두께 3 mm는 전계 레벨이 29.8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98배 증가되었다. 두께 1 mm, 2 mm와 두께 3 mm 증가되는 전계 레벨 수준은 0.2 V/m 차이가 나지만, 그래프에서 증폭 수준이 거의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폭되는 레벨이나 주파수가 큰 차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jkiees-31-2-113-g22
그림 22. | Fig. 22. 금속판 두께 결과 | Metal plate thickness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Ⅲ. 시뮬레이션(Simulation) 기반 시험 방법

시뮬레이션 시험은 EMcos Studio 2018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시험 안테나 구성은 그림 2325에 나타내었다. 시뮬레이션에서 Ground Table 크기는 2,500 mm×1,000 mm×2 mm이며, 높이 900 mm 위치에 배치하였다. Ground Strap 크기는 200 mm×2 mm×900 mm 이며, Ground Table 뒤쪽으로 143 mm 간격으로 8개를 배치하였다. Insulation Block의 크기는 1,500 mm×1,000 mm×50 mm로 배치하였다. 주황색 점이 Field Probe로 실측과 유사하게 5 cm, 10 cm, 15 cm, 20 cm 거리로 배치하였다.

jkiees-31-2-113-g23
그림 23. | Fig. 23. 바이커니컬 안테나(20~100 MHz) | Biconical antenna(20~100 MHz).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4
그림 24. | Fig. 24. 브이 대수 주기 안테나(100 MHz~1 GHz) | V-LOG antenna(100 MHz~1 GHz).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5
그림 25. | Fig. 25. 혼 안테나(1~2 GHz) | Horn antenna(1~2 GHz).
Download Original Figure

금속판이 없는 경우에 전계 측정 결과는 그림 26이다.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65 V/m, 거리가 10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47 V/m,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26 V/m, 거리가 20 cm일 때 전계 레벨이 10.19 V/m로 측정되었으며, Field Probe가 안테나와 가 까이 있을수록 전계 레벨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파수와 전계 레벨이 비례하여 증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ield Probe가 전계를 발생해 주는 면과 가까이 있을수록 더 높게 증폭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은 금속판 1면에 대한 시험으로 배치도는 그림 27에 나타내었다.

jkiees-31-2-113-g26
그림 26. | Fig. 26. 금속판 없을 때 시뮬레이션 결과 | Simulation results when is no metal plate.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7
그림 27. | Fig. 27. 금속판 1면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1 face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28 그래프에서 주파수 5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0 cm, 15 cm, 20 cm일 때 전계 레벨이 23 V/m 이상이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3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7~1.8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5 cm, 20 cm일 때 전계 레벨이 15 V/m 수준으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5배 정도 증가되었다. Field Probe와 금속판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 계레벨이 높게 증가되며,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경우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금속판 2면에 대한 시험으로 배치도는 그림 29에 나타내었다.

jkiees-31-2-113-g28
그림 28. | Fig. 28. 금속판 1면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1 face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29
그림 29. | Fig. 29. 금속판 2면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2 face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30 그래프에서 주파수 3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6.8 V/m가 측정되었으며,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68배로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6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레벨이 12.0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 준으로 1.2배 정도 증가되었다. Field Probe와 금속판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계 레벨이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금속판 3면(전면) 배치도는 그림 31이다.

jkiees-31-2-113-g30
그림 30. | Fig. 30. 금속판 2면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2 face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1
그림 31. | Fig. 31. 금속판 3면(전면) 배치도 | Metal plate 3 face(front)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32 그래프에서는 주파수 300~6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15 cm일 때 전계 레벨이 24.8 V/m가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48배로 증가되었 다. 주파수 1.6 G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20 cm일 경우에는 전계 레벨이 20.7 V/m 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07 배 증가되었다. 실측보다 주파수 범위는 넓어졌지만 전계 레벨 증가 수준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금속판 3면(후면) 배치도는 그림 33이다.

jkiees-31-2-113-g32
그림 32. | Fig. 32. 금속판 3면(전면)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3 face(front)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3
그림 33. | Fig. 33. 금속판 3면(후면) 배치도 | Metal plate 3 face(rear)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34 그래프에서는 주파수 300 MHz에서 Field Probe 거리가 5 cm일 때 전계 레벨이 16.8 V/m가 측정되 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68배 증가되었으며, 주파수 1~1.7 GHz에서는 전계 레벨이 18.2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1.82 배 증가되었다. 실측보다 전계레벨 수준은 낮아졌지만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금속판 높이에 대한 배치는 그림 3538에 나타내었다.

jkiees-31-2-113-g34
그림 34. | Fig. 34. 금속판 3면 후면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3 face(rear)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5
그림 35. | Fig. 35. 금속판 높이 50 mm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height 50 mm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6
그림 36. | Fig. 36. 금속판 높이 100 mm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height 100 mm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7
그림 37. | Fig. 37. 금속판 높이 200 mm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height 200 mm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jkiees-31-2-113-g38
그림 38. | Fig. 38. 금속판 높이 300 mm 시뮬레이션 구성 | Metal plate height 300 mm simulation setup view.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39 그래프에서 주파수 200~600 MHz에서금속판 높이가 100 mm일 때 전계 레벨이 25.9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59배 증가되었다. 금속판 높이가 100 mm에서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금속판 높이가 200 mm, 50 mm, 300 mm 순으로 전계레벨이 높게 측정되었다. 금속판 높이별로 전계 레벨이 증가되는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여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금속판 두께에 대한 시험 결과 그래프는 그림 40이다.

jkiees-31-2-113-g39
그림 39. | Fig. 39. 금속판 높이별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height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40의 결과에서 주파수 200~600 MHz에서 두께 1 mm, 2 mm, 3 mm는 전계 레벨이 25.8 V/m로 측정되어 교정 전계 레벨 10 V/m 기준으로 2.58배 증가되었으며, 그래프에서 증폭 수준이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폭되는 레벨이나 주파수가 큰 차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어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jkiees-31-2-113-g40
그림 40. | Fig. 40. 금속판 두께별 시뮬레이션 결과 | Metal plate thickness simulation result.
Download Original Figure

실측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바디(금속판)에 면의 위치에 따라 부품의 종류예시를 표 34에 나타내었다. 표 56은 금속판의 위치 별 취약 주파수이며, 표 7은 금속판 높이에 따른 취약 주파수이다. 표 57의 취약 주파수 구간은 실측과 시뮬레이션 그래프 결과에 보조선으로 추가하였다. 표 57과 실측과 시뮬레이션 그래프를 참고하여 자동차 부품을 설계한다면 방사 내성도의 불만족 결과가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표 3. | Table 3. 금속판 1면, 2면 위치별 부품 종류 | Metal plate 1,2 face position component type.
Distance between metal plate and component Metal plate 1 face Metal plate 2 face
5 cm Millimeter waver radar Junction box
10 cm Oxygen sensor Wiper motor
15 cm Battery sensor Cluster
20 cm Radiator Seat motor
Download Excel Table
표 4. | Table 4. 금속판 3면(전면, 후면) 위치별 부품 종류 | Metal plate 3 face(front, rear) position component type.
Distance between metal plate and component Metal plate 3 face (Front) Metal plate 3 face (Rear)
5 cm USB port, Aux Rear radar
10 cm Car audio Tail right
15 cm Blower motor Fuel filter
20 cm Accelerator
Download Excel Table
표 5. | Table 5. 금속판 1면, 2면 위치별 취약 주파수 | Metal plate 1, 2 face position susceptible frequency type.
Distance between metal plate and component Metal plate 1 face Metal plate 2 face
5 cm 200~750 MHz 300~400 MHz
1.6 GHz 1.6 GHz
10 cm 200~750 MHz 1~2 GHz 300~400 MHz
15 cm
20 cm
Download Excel Table
표 6. | Table 6. 금속판 3면(전면, 후면) 위치별 취약 주파수 | Metal plate 3 face(front, rear) position susceptible frequency type.
Distance between metal plate and component Metal plate 3 face (Front) Metal plate 3 face (Rear)
5 cm 1~2 GHz 300 MHz
1~2 GHz
10 cm 200~300 MHz 300 MHz
1~2 GHz 1~2 GHz
15 cm 200~500 MHz 1~2 GHz
1~2 GHz
20 cm 200~300 MHz
1~2 GHz
Download Excel Table
표 7. | Table 7. 금속판 높이별 취약 주파수 | Metal plate height susceptible frequency type.
Metal plate height Frequency range vulnerable to immunity
50 mm 400~500 MHz
100 mm 200~600 MHz
200 mm 200~600 MHz
300 mm 400~500 MHz
Download Excel Table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바디(금속판) 크기 및 위치에 대한 부품 내성 시험 및 실차 내성 시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부품 내성 평가 규격 ISO 11452-2(2004)와 실차 내성 평가 규격 ISO 11451-2(2015), ECE R 10 Revision 5, KN41(2016-12)에서는 실차의 내성 평가에서 는 만족을 하더라도 부품의 내성 평가는 불만족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차량용 부품에 대한 부품 내성 시험과 실차 내성 시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자동차 바디를 금속판으로 가정하여 부품 내성 시험을 진행할 경우 실차 내성 시험 환경과 유사한 조건과 금속판의 위치 및 크기별로 증폭되는 주파수를 제안하였다[5][8]. 장착 위치와 취약한 주파수를 고려하여 부품을 설계하고, 부품 내성 시험에서 실차의 장착 조건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시험하면 실차 시험에서 불만족을 하는 결과가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한국자동차연구원 전자기파연구센터에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J. G. Sin, “Automotive Electromagnetic(EMC) testing standards and testing methods,” in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1996, vol. 7, no. 2, pp. 17-29.

[2].

J. G. Sin, J. H. Choi, “Automotive and component EMC standardization technology trends,” in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an. 2009, vol. 20, no. 1, pp. 42-52.

[3].

J. G. Yang, H. S. Keum,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technical standards and test methods for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n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an. 2012, vol. 23, no. 1, pp. 5-14.

[4].

J. M. Song, “Revi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evention standards and test methods recent trends,” in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012, vol. 23, no. 2, pp. 54-62.

[5].

Road Vehicles, Component Test Methods for Electrical Disturbance from Narrowband Radiated Electromagnetic Energy - Part 2: Absorber-Lined Shielded Enclosure, ISO 11452-2, Nov. 2004.

[6].

Road Vehicles, Vehicle Test Methods for Electrical Disturbances from Narrowband Radiated Electromagnetic Energy - Part 2: Off-Vehicle Radiation Sources, ISO 11451-2, Jun. 2015.

[7].

Uniform Provisions Concerning the Approval of Vehicles with Regard to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CE R 10 Revision 5, Oct. 2014.

[8].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 Method for Automobi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ing Equipment, KN 41, Dec. 2016.

Author Information

김 동 균 [자동차부품연구원 / 선임연구원]

jkiees-31-2-113-i1

  • https://orcid.org/0000-0001-9700-8858

  • 2014년 2월: 공주대학교 나노정보공학 (공학사)

  • 2017년 9월~2020년 2월: 아주대학교 IT융합대학원

  • 2014년 10월~현재: 한국자동차연구원 근무

  • [주 관심분야] RF, EMC, EMS 등

박 용 배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교수]

jkiees-31-2-113-i2

  • https://orcid.org/0000-0002-7095-4614

  • 1998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공학사)

  • 2000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 2003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 2003년 2월~2006년 8월: KT 인프라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6년 9월~현재: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 [주 관심분야] 전자장 해석, EMI/E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