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 Table 1. 국내의 전자파 이해소통 | EMF risk communication in Korea.

구분 위험인지 위험평가 위험관리t
범위 및 인자[2] 경제적 요인, 사회적 주장, 정치적 풍토, 일반인 의견 및 우려 위해 식별, 용량-반응 평가, 노출량 평가, 위험 특성 분석 의사소통프로그램, 연구, 노출제한, 규제 완화, 보상
국내 주요 현황 1990년대 초 전자파 인체유해 언론보도 2002년 정부 휴대전화 SAR 규제 ① 법·제도(‘00년) 전파법(제44조의3, 제47조의 2), 전자파인체보호기준
2000년 IEGMP(영국) 어린이 보호 필요 2007년 기지국전자파 강도 측정
2011년 IARC 2B 2012년 다중노출에 대한 생체영향 평가 ② 1997년~현재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
2013년 밀양송전탑 건설반대 2012년 어린이 전신 노출 평가 ③ KIEES, RRA 등 이해소통프로그램
2015년 사드전자파 2018년 알츠하이머 영향 ④ 유사보상: 송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