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재구성 가능한 반사형 메타표면 안테나[1]~[3]는 전자적 빔 조향을 위해 고가의 위상천이기 대신 PIN 다이오드와 같은 능동 부품을 사용하므로 시스템의 저비용, 경량화의 장점이 있어서 무선 통신, 위성 통신, 레이다에 응용될 수 있는 차세대 안테나로 주목받고 있다. 일부 응용에서는 편파 불일치로 인한 전송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원형 편파 안테나가 이용되고 있으며, 더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RHCP(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와 LHCP(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를 스위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원형 편파 재구성 가능한 반사형 메타표면 안테나[3]~[6]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안테나[4]~[6]는 단위 셀에서 x 및 y 편파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서 원형 편파 스위칭이 불가능했다. 한편, 이중 편파 재구성 가능한 반사형 메타표면 안테나[3]는 단위 셀에서 x 및 y 편파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였고, 두 편파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빔 조향함으로써 원형 편파로 합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상의 원형 편파 급전 안테나를 사용하여 한 가지 원형 편파에 대해 시뮬레이션에서만 제한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편파 메타표면[3]을 기반으로 원형 편파 스위칭 기능이 있는 재구성 가능한 반사형 메타표면 안테나를 제안한다. 급전 안테나로 LHCP 패치 안테나를 설계하고 메타표면에 결합하여 xz 및 yz 평면에 대해 원형 편파 빔 조향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기존의 이중 편파 메타표면이 x 및 y 편파 단위 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각 편파의 기준 위상을 동위상이나 반대 위상으로 설정함으로써 RHCP 또는 LHCP로 편파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두 편파의 기준 위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축비를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Ⅱ. 안테나 구조
반사형 능동 메타표면 안테나는 그림 1(a)와 같이 급전 안테나와 능동 메타표면[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계된 LHCP 패치 급전 안테나의 구조는 그림 1(b)와 같으며, 9.9 GHz에서 반사 계수는 −14 dB, 최대 이득은 6.66 dBi, 축비는 0.86 dB로 측정되었다. 급전 안테나의 위치는 스필오버(spillover) 효율이 69 %, 테이퍼(taper) 효율이 78 %로, 둘의 곱이 최대가 되는 지점으로 선택하였고, 이때 F/D=0.32이다. 여기서 F는 급전 안테나와 개구면 사이의 거리로 40 mm, D는 개구면 한 변의 길이로 126 mm이다.
능동 메타표면은 그림 1(c)와 같이 x 및 y 편파에 대해 각각 82개의 단위 셀이 교차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x 또는 y 편파를 선택하고 grating lobe를 방지하기 위해 소형화된 직사각형 링 패치 모양의 단위 셀이 채택되었다. 각 단위 셀[3]은 PIN 다이오드를 on/off함에 따라 링 패치의 전기적 길이가 달라져 반사 계수의 위상을 180°로 가변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단위 셀의 치수는 P=9 mm, Lx=3.6 mm, Ly=7.9 mm, 그리고 W=0.75 mm이다. 또한, 원하지 않는 직교 편파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회전된 부배열 구조가 채택되었다.
Ⅲ. 원형 편파 스위칭 및 축비 보정 원리
능동 메타표면 안테나의 빔 조향 원리[7]는 배열 안테나의 어레이 팩터(array factor) 이론을 기반으로 메타표면 반사파의 파면을 조작함으로써 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빔 조향을 위한 반사파의 위상은 급전 안테나로부터 메타표면에 구면파 형태로 도달한 입사파의 위상과 단위 셀의 반사 계수의 위상에 의해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3],[7].
여기서 는 각각 메타표면 내 x 또는 y 편파 단위 셀에서 출력, 입력, 요구, 기준 위상[3],[7]을 나타낸다. 출력 위상은 원하는 방향으로 빔 조향을 하기 위해 필요한 위상으로 어레이 팩터를 통해 구할 수 있고 연속적인 위상 변화를 갖는다. 입력 위상은 급전 안테나로부터 메타표면의 각 단위 셀에 도달한 전파의 위상 지연이며 요구 위상은 단위 셀의 반사 위상으로 출력 위상과 입력 위상으로부터 계산되고,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위상 변화를 갖는다. 하지만 PIN 다이오드를 on/off하여 빔조향을 수행하는 1비트 메타표면의 경우 요구 위상을 0° 또는 180°로 양자화하는 과정을 겪으며, 연속적인 위상 분포에 비해 필연적으로 양자화 효율의 열화가 발생한다. 이때 양자화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메타표면 전체 단위 셀에 동일한 기준 위상을 더해주는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3],[7]. 여기서 180° 위상차로 양자화하였으므로 양자화 효율이 최대가 되는 기준 위상은 180°마다 반복된다. 따라서 x 및 y 편파에 대해 양자화 효율이 최대가 되는 기준 위상은 동위상 또는 반대 위상(180°)의 경우가 있다.
한편, 이상적인 RHCP 및 LHCP 빔을 생성하기 위해 능동 메타표면의 출력파의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은 식 (2) 및 식 (3)과 같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식 (2) 및 식 (3)은 각각 RHCP 및 LHCP 빔 조향을 위한 직교 편파의 위상 조건에 해당한다. 이 조건은 식 (1)로부터 x 및 y 편파의 기준 위상을 동위상 또는 반대 위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LHCP 급전 안테나를 가정하였으므로, x 및 y 편파의 기준 위상을 같게 한 동위상 반사의 경우, 입사파의 방향과 메타표면의 반사파 진행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식 (2)와 같은 조건이 되어 RHCP 빔이 생성된다. 반대로 기준 위상에 180° 차이를 준 반대 위상(180°)의 경우, 식 (3)과 같은 조건이 되어 LHCP 빔이 생성된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예제로 (θ,ϕ)=(0°, 0°) 방향으로 RHCP와 LHCP 빔 조향 시 메타표면의 PIN 다이오드 on/off 제어 상태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x 및 y 편파의 양자화 효율이 최대가 되는 기준 위상이 같도록 설정된 경우, 그림 2(a)와 같이 두 편파는 유사한 on/off 분포를 갖게 되어 RHCP 빔이 생성된다. 반대로 x 및 y 편파의 양자화 효율이 최대가 되는 기준 위상에 180° 차이를 설정하면, 그림 2(b)와 같이 두 편파가 반전된 on/off 분포를 갖게 되고 LHCP 빔이 생성된다.
그러나 실제 메타표면 안테나는 급전 안테나 구조, 메타표면의 모서리 회절, 측정에 사용된 지그에 의한 산란 효과에 의해 이상적인 원형 편파 조건을 벗어나게 되어 축비 성능이 열화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축비 최적화 방법은 직교 편파의 기준 위상을 양자화 효율이 최대가 되는 조건인 식 (2) 또는 식 (3)에서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양자화 효율, 출력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적인 원형 편파 조건에 가깝게 최적화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식 (4) 및 식 (5)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는 각각 x 또는 y 편파의 보정된 출력 위상으로 기준 위상 을 임의로 설정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정 전후에서 이득은 유지되면서 축비는 시뮬레이션에서 0.39 dB, 측정에서 2.22 dB 더 낮게 최적화되었다.
Before compensation | After compensation | |
Gain sim. [dBic] | 13.69 | 13.57 |
Gain mea [dBic] | 11.44 | 11.14 |
Axial ratio sim. [dB] | 1.11 | 0.72 |
Axial ratio mea. [dB] | 3.89 | 1.67 |
Ⅳ. 측정 및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3은 제작된 안테나의 실물 사진이다. 설계된 능동 메타표면 안테나는 제어부, 급전 안테나를 지그에 결합한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pc 프로그램과 제어회로를 통해 메타표면의 각 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빔 조향이 가능하다. 해당 안테나는 측정거리 7 m의 무반사실에서 측정되었다[3]. 그림 4 및 그림 5는 각각 RHCP와 LHCP의 빔 조향 결과를 나타낸다. 두 원형 편파 모두 xz 및 yz 평면에서 최대 45°까지 빔 조향 되는 것을 확인했다. 여기서 메타표면은 대칭 구조이므로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RHCP 빔의 최대 이득은 13.89 dBic, 개구면 효율은 15.52 %로 측정되었으며, LHCP 빔의 최대 이득은 14.12 dBic, 개구면 효율은 14.19 %로 측정되었다. 축비는 LHCP & yz 평면의 θ=45°를 제외하고 모든 조향각에서 3 dB 이하로 유지되었다. 측정 결과의 오차는 제작된 급전 안테나의 성능 오차, 제작 공차, 조립 오차, 지그의 영향 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2는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원형 편파 급전 안테나를 사용한 기존 반사형 능동 메타표면 안테나 사례[4]~[6]와 비교한 것이다. 기존 안테나들은 x 및 y 편파를 제어하기 위한 PIN 다이오드가 하나의 바이어스 선로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의 상태가 종속적으로 제어되어 한 가지 원형 편파로만 빔 조향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반면에 제안된 안테나는 x 및 y 편파 단위 셀을 각각 설계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편파 스위칭 빔 조향이 가능하다. 본 논문의 안테나는 기존 논문의 안테나에 비해 이득이 작은 급전 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은 값의 F/D를 갖는다[8].
This work | Ref. [4] | Ref. [5] | Ref. [6] | |
CP switching | O | X | X | X |
Unit cell design | ||||
Frequency | 9.9 GHz | 9.5 GHz | 10.25 GHz | 9.5 GHz |
Peak gain [dBic] | 13.89(RHCP)/14.12(LHCP) | 21.8 | 20.4 | 24.5 |
F/D | 0.32 | 0.99 | 1.05 | 1.02 |